반응형
GitHub에 연동된 로컬 폴더에서 rm <filename>
으로 파일을 삭제해도 깃헙에서는 파일이 남아있다.
깃헙에서 파일을 삭제하려면 Git과 같은 버전 제어 시스템을 사용하여 commit 및 push를 통해 업데이트를 해야한다.
또는 웹에서 직접 파일을 삭제해야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웹에서 로컬에서 파일을 삭제할 때 원격 저장소에서도 파일이 삭제되도록 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로컬 리포지토리와 깃헙 저장소에서 파일 삭제하기
먼저 로컬 리포지토리와 GitHub에서 파일을 동시에 삭제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 삭제할 파일이 있는 폴더로 이동 후
rm <filename>
대신git rm <filename>
을 실행 git commit -m "Removed <filename>."
실행하여 변경 사항을 커밋git push
으로 변경 사항을 GitHub에 푸시
정리하면 rm 대신 git rm으로 파일을 삭제한 다음 커밋과 푸시를 하면 된다.
이미 rm <filename>으로 파일이 삭제되어버린 경우
으로 파일이 삭제되어버린 경우
하지만 이미 rm <filename>
으로 파일을 삭제했을 때 깃헙에서 파일을 삭제해야할 수도 있다.
그럴 땐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git status
를 실행하여 어떤 파일이 로컬에서 삭제되었는지 확인git add -u
명령어로 삭제된 파일을 깃헙에서 삭제할 준비git commit -m "Removed <filename>."
실행하여 변경 사항을 커밋git push
으로 변경 사항을 GitHub에 푸시
사실 삭제된 파일들을 모두 알고있다면 1번 과정은 그다지 필요가 없다.
반응형
'코딩 환경 > Termin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erminal] 맥북 터미널 호스트네임 변경 (터미널 상단 바 이름 변경) (1) | 2023.10.04 |
---|---|
[Terminal] 터미널 이름 옆 (base) 나오는 이유와 비활성화 방법 (feat. Anaconda) (0) | 2023.07.27 |
[Git] git push에서 fatal: Authentication failed for... 에러 해결 (0) | 2023.04.12 |
[Terminal] fzf 설치 및 사용 방법 (0) | 2023.02.25 |
[tmux] SSH 세션에서 Broken pipe 해결을 위한 tmux 간단 사용법 (0) | 2023.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