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피터 랩을 아무런 설정 없이 사용하면 밋밋하고 간지가 안 난다. 주피터 랩을 각자 입맛에 맞게 바꿔보자.주피터 랩 테마 변경나는 사용하는 폰이나 맥북이나 사용하는 기기나 어플들은 모두 다크 테마를 사용한다. 주피터 랩도 다크 테마로 바꿔보자.주피터 랩을 열고 위의 Settings을 클릭한 다음 가장 위에 있는 메뉴인 Theme을 눌러서 테마를 선택할 수 있다.Settings의 Text Editor Theme에서 텍스트 에디터의 테마도 변경할 수 있다.이 설정은 주피터 노트북 파일.ipynb파일이 아닌 .py파일 등에 적용된다.여러 테마가 있지만 jupyter가 아닌 테마들은 주피터 랩 테마와 따로 노는 느낌이라서 나는 기본값인 jupyter을 사용 중이다.서체 및 글자 크기 변경기본값인 폰트는 각이 지..
이전 글에서 주피터 랩과 가상 환경에 파이토치를 설치했으니 이제 주피터 랩에서 파이토치로 머신러닝 코드를 짜고 싶을 것이다.주피터 랩 설치와 가상 환경 구축 및 파이토치 설치는 이전 글들을 참고하면 좋다. 이제 코딩을 위해 주피터 랩을 실행시켜보자.터미널에서 jupyter lab 혹은 python -m jupyterlab주피터 랩을 실행시킨다.그러면 브라우저에서 주피터 랩이 열린다.빨간 네모를 눌러 노트북을 만들고 import torch로 파이토치를 불러오자.에러가 발생한다.파이토치는 가상 환경에 설치했지만 방금 만든 노트북의 커널은 파이토치가 설정된 가상 환경이 아니라 글로벌 파이썬 환경의 커널에서 작동 중이기 때문이다. 주피터 랩에서 가상 환경을 활성화하고 가상 환경에서pip install jupyt..
1. 주피터 노트북과 주피터 랩의 소개Jupyter Notebook과 Jupyter Lab은 모두 사용자가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드를 작성, 실행 및 공유할 수 있는 웹 기반 대화형 컴퓨팅 환경이다. 둘 다 대화형 데이터 사이언스 및 프로그래밍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오픈 소스 이니셔티브인 주피터 프로젝트의 일부이다.1.1 Jupyter NotebookJupyter Notebook은 2011년에 출시된 오리지널 웹 기반 컴퓨팅 환경이다. 유저는 라이브 코드, 방정식, 시각화 및 설명 텍스트를 결합한 문서를 만들고 공유할 수 있다. 주피터 노트북은 단순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어 사용자가 쉽게 시작할 수 있다. Python, R, Julia 등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한다.1.2..